경기도일자리재단·시흥시, 청년 엔지니어와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기술인재 육성 포럼 열고 지원 방향 논의

정충근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7 20:20:18
  • -
  • +
  • 인쇄
청년 엔지니어의 성장과 정주 로드맵 … 27일, 서울대 시흥캠퍼스에서 개최
▲ 기술 인재 육성 포럼

[뉴스앤톡]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시흥시와 함께 27일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에서 ‘청년 엔지니어 육성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시흥스마트허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청년 엔지니어의 성장과 정착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 지원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은 ‘청년 엔지니어의 성장과 정주 로드맵’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지역 대학과 고등학교 진로 담당 교사, 기업, 일자리 유관기관 관계자 등 약 70명이 참석했다. 현장에서는 청년의 일자리 유입부터 성장, 정착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실질적인 방안이 논의됐다.

이날 행사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와 연계해 추진한 ‘청년 엔지니어 육성 사업’의 성과 발표로 시작됐다. 이어 오선주 ㈜유퍼런스 대표가 ‘시흥시 청년 고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시흥스마트허브 중소제조업의 청년 취업 여건과 채용 수요 변화를 분석해 소개했다.

봉미란 한성대학교 교수는 ‘청년 엔지니어 육성 모형 연구’를 통해 교육과 고용이 연계된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 모델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시흥스마트허브 제조기업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전공 트랙을 다양화하고 온라인 수업 비율을 확대하는 한편, 석사과정과의 연계를 늘리는 등 학사 운영의 유연성 강화 방안을 제안했다. 해당 방안은 학생과 기업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포럼 참여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지정 토론에는 이혜민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연구센터장이 좌장을 맡아, 한국공학대학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사업단장, 수원시교육지원청 장학사, 기업인, 협회 관계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재학 청년 노동자가 참여했다.

특히 한민섭 사업단장은 계약학과 운영 과정에서 학생이자 노동자인 청년과 기업 간 매칭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실적 애로사항을 언급하며, 청년이 선호하는 기업을 발굴하기 위한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한양대학교 23학번 김예림 학생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를 선택한 이유와 함께, 일 경력을 즉시 쌓을 수 있다는 장점과 현업 경험을 통해 느낀 프로젝트 학습의 필요성을 공유했다.

재단과 시흥시는 시범 사업을 통해 참여 청년에게 최대 월 30만 원의 고용정주수당을 지급하고, 기업에는 기업 부담 등록금을 지원했다. 이를 통해 지역 청년의 계속 고용을 유도하고, 기업의 신규 엔지니어 채용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를 동시에 도모했다. 그 결과,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청년 채용 연계 참여 기업 수는 전년 대비 2.6배, 청년 채용 연계 인원은 2.7배 증가하는 등 유의미한 성과가 공유됐다.

윤덕룡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는 “포럼은 시흥스마트허브 등 경기 남부권 제조업 르네상스를 위한 청년 엔지니어의 육성과 지역 인재 정주를 위한 정책을 공유한 자리”라며, “재단은 지역 대학과 기업, 지자체를 잇는 창의적인 협력의 플랫폼으로서, 산업 현장 중심 교육과 지역 맞춤형 고용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재단은 청년 엔지니어 육성과 지역 정주 모델을 도내 전역으로 확산해 지역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도내 이공계 기반을 갖춘 대학과 지자체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경기도와 지속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